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TEAM
SERVICE
기획
디자인
개발
컨설팅
PORTFOLIO
CONTACT
BLOG ↗
닫기
블로그
MVP 이후에도 ‘불확실성’은 끝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제로백데브입니다!
저희가 최근 가장 자주 받는 요청 중 하나는 '일단 빠르게 MVP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시장 반응을 보기 위해, 또는 투자 피칭을 앞두고 기능 구현 중심으로 빠르게 MVP를 제작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MVP를 출시한 이후, 반복되는 버그 수정과 기능 보완만 계속되며 진짜 중요한 ‘운영 전략’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MVP 출시 이후, 버그 수정만 반복 중이라면?
MVP는 검증을 위한 출발점일 뿐, 완성된 제품이 아닙니다.
하지만, 막상 서비스를 오픈하고 나면 예상 외의 이슈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합니다.
버그 제보는 많은데 우선순위를 잡기가 어렵고,
유저 피드백은 대부분 비정형적으로 들어오며,
어떤 기능이 실제로 ‘먹히는지’ 판단할 데이터 기반이 부족해집니다.
이렇게 ‘MVP 운영’을 통한 '검증'이 아닌, ‘버그 패치’ 중심의 루틴이 반복되며, MVP를 만들기로 결정한 초기 의도가 점점 희미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MVP 이후, 진짜 중요한 세 가지 운영 전략
저희 제로백데브는 MVP 출시 이후 운영까지 고려한 기획과 사업 전략을 함께 제안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아래 세 가지는 꼭 준비되어야 합니다.
1. 유저 피드백 수집 구조 설계
주요 플로우별 유저 행동 데이터 로그 세팅
앱 내 피드백 수집 포인트 삽입 (예: 사용자 만족도 이모지, 1문 피드백 등)
구글폼, 채널톡 등을 활용한 비정형 의견 수집 통합
MVP는 ‘완벽한 제품’이 아니라 ‘학습 도구’입니다. 무엇을 학습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피드백을 수집할 것인지를 구조화하지 않으면 기능 개선도, 방향성 검증도 어렵습니다.
2. 우선순위 기반의 이슈 대응 기준 마련
‘사용성에 치명적 영향’ 여부를 1순위 기준으로 판단
유저 수 기준 또는 영향 범위를 정량화해 대응 시점 구분
개선/패치 주기를 1~2주 단위로 고정해 체계적인 패턴 유지
버그/건의사항이 무작위로 들어오기 시작하면 기획, 개발, 운영팀 모두 번아웃됩니다.
그래서 초기에는 이슈 대응 기준을 명확히 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3. CS 대응 체계 상세 기획
앱 내에서 바로 확인 가능한 자주 묻는 질문(FAQ)
결제, 환불, 알림 등 민감한 기능에 대한 가이드 삽입
실시간 채팅 상담이 가능한 솔루션 도입 검토 등
많은 고객사들이 ‘CS는 나중에 생각해도 된다’고 하시지만, 이탈을 막는 마지막 마지노선은 결국 고객 대응력입니다.
'출시 이후'도 설계하는 팀을 만나보세요!
저희 제로백데브는 단순히 빠른 MVP 출시만이 최선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질문들을 초기 단계부터 지속적으로 던지며, 출시 이후까지 고민합니다.
이 MVP를 통해 유저에게 어떤 반응을 받고 싶은가?
운영 단계에서는 어떤 구조로 확장되어야 하는가?
출시 후에도 지속 가능한 IT 서비스 출시를 고민하고 계신가요?
저희 제로백데브가 가장 확실한 파트너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신규 유저 설문, 진짜로 필요한가요?
스타트업 투자 혹한기, MVP 개발도 전략이 필요하다.
목록
주식회사 제로백데브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1길 62 아티스포럼 911호
대표자 : 박진희
사업자등록번호: 519-88-03232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0100dev
안녕하세요, 제로백데브입니다!
저희가 최근 가장 자주 받는 요청 중 하나는 '일단 빠르게 MVP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시장 반응을 보기 위해, 또는 투자 피칭을 앞두고 기능 구현 중심으로 빠르게 MVP를 제작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MVP를 출시한 이후, 반복되는 버그 수정과 기능 보완만 계속되며 진짜 중요한 ‘운영 전략’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MVP 출시 이후, 버그 수정만 반복 중이라면?
MVP는 검증을 위한 출발점일 뿐, 완성된 제품이 아닙니다.
하지만, 막상 서비스를 오픈하고 나면 예상 외의 이슈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합니다.
버그 제보는 많은데 우선순위를 잡기가 어렵고,
유저 피드백은 대부분 비정형적으로 들어오며,
어떤 기능이 실제로 ‘먹히는지’ 판단할 데이터 기반이 부족해집니다.
이렇게 ‘MVP 운영’을 통한 '검증'이 아닌, ‘버그 패치’ 중심의 루틴이 반복되며, MVP를 만들기로 결정한 초기 의도가 점점 희미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MVP 이후, 진짜 중요한 세 가지 운영 전략
저희 제로백데브는 MVP 출시 이후 운영까지 고려한 기획과 사업 전략을 함께 제안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아래 세 가지는 꼭 준비되어야 합니다.
1. 유저 피드백 수집 구조 설계
주요 플로우별 유저 행동 데이터 로그 세팅
앱 내 피드백 수집 포인트 삽입 (예: 사용자 만족도 이모지, 1문 피드백 등)
구글폼, 채널톡 등을 활용한 비정형 의견 수집 통합
MVP는 ‘완벽한 제품’이 아니라 ‘학습 도구’입니다. 무엇을 학습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피드백을 수집할 것인지를 구조화하지 않으면 기능 개선도, 방향성 검증도 어렵습니다.
2. 우선순위 기반의 이슈 대응 기준 마련
‘사용성에 치명적 영향’ 여부를 1순위 기준으로 판단
유저 수 기준 또는 영향 범위를 정량화해 대응 시점 구분
개선/패치 주기를 1~2주 단위로 고정해 체계적인 패턴 유지
버그/건의사항이 무작위로 들어오기 시작하면 기획, 개발, 운영팀 모두 번아웃됩니다.
그래서 초기에는 이슈 대응 기준을 명확히 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3. CS 대응 체계 상세 기획
앱 내에서 바로 확인 가능한 자주 묻는 질문(FAQ)
결제, 환불, 알림 등 민감한 기능에 대한 가이드 삽입
실시간 채팅 상담이 가능한 솔루션 도입 검토 등
많은 고객사들이 ‘CS는 나중에 생각해도 된다’고 하시지만, 이탈을 막는 마지막 마지노선은 결국 고객 대응력입니다.
'출시 이후'도 설계하는 팀을 만나보세요!
저희 제로백데브는 단순히 빠른 MVP 출시만이 최선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질문들을 초기 단계부터 지속적으로 던지며, 출시 이후까지 고민합니다.
이 MVP를 통해 유저에게 어떤 반응을 받고 싶은가?
운영 단계에서는 어떤 구조로 확장되어야 하는가?
출시 후에도 지속 가능한 IT 서비스 출시를 고민하고 계신가요?
저희 제로백데브가 가장 확실한 파트너가 되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