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TEAM
SERVICE
기획
디자인
개발
컨설팅
PORTFOLIO
CONTACT
BLOG ↗
닫기
블로그
유저 페르소나(Persona)없이 의사결정하면, 프로덕트는 망합니다.
안녕하세요, 제로백데브입니다!
저희가 모든 프로젝트의 기획 단계에서,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이 서비스의 핵심 타겟 유저는 누구인가요?”
하지만 많은 고객사에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20~30대 MZ 세대요.”
“B2B 기업 고객이요.”
“우리 서비스는 누구나 쉽게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모호한 답변이 나온다면, 이미 위험 신호입니다.
서비스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구를 위한 서비스인가’
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의사결정이 담당자의 주관에 따라 흔들리고 결과적으로 서비스는 망하게 됩니다.
유저 페르소나(Persona) 없이 기획하면 벌어지는 일
고객사 담당자의 직감과 감각으로 의사결정을 한다면?
“이 기능은 그냥 있어야 할 것 같아요.”
“디자인은 이렇게 하면 보기 좋지 않을까요?”
"채팅 기능도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
“윗분들이 중요하게 생각해서 꼭 넣어야 해요.”
이러한 과정들이 반복되면 발생하는 문제는?
1. 사용자가 원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가 만들고 싶은 서비스가 탄생함
2. 서비스의 방향성이 계속 흔들리고, 개발 일정이 끝없이 늘어남
3. 출시 후, 실제 유저들의 반응이 예상과 전혀 다름
4. 소리 소문 없이 고객들에게 잊혀짐
결과적으로, 투자한 시간과 비용 대비 미미한 서비스가 탄생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저희 제로백데브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유저 페르소나(Persona)'를 가장 먼저 정의합니다.
유저 페르소나(Persona)가 필요한 이유
유저 페르소나는 단순한 가상의 사용자 캐릭터가 아닙니다.
IT 프로덕트를 만들 때, 모든 의사결정의 기준점이 되는 핵심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일정 관리 캘린더 앱"을 만든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 대리는 "대학생 유저"를 생각하며 강의 시간표 공유 기능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B 과장은 "비즈니스 전문가"를 떠올리며 복잡한 일정 조율 기능을 넣으려고 합니다.
C 팀장은 "일반 사용자"를 위해 미니멀한 직관적인 UI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처럼 유저 페르소나가 정해지지 않으면,
담당자의 취향과 생각에 따라 기획 방향이 흔들립니다.
하지만, 페르소나가 명확하게 정해진다면?
"우리 캘린더 앱의 핵심 유저는 ‘하루 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직장인’이다."
"이 유저는 팀 일정이 아니라, 개인 일정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이 유저는 복잡한 기능보다, 하루의 일정과 할 일을 쉽게 정리할 수 있는 UI를 원한다."
특정 페르소나를 기준으로 삼으면, 핵심 타겟이 필요하지 않은 기능은 과감히 제거하고,
유저가 가장 만족할 수 있는 핵심 기능만 집중해서 뾰족하게 프로덕트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즉, 제품이
누구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가 명확해지고, 불필요한 기능 추가로 인한 개발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제로백데브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유저 페르소나를 정의합니다.
저희 제로백데브의 기획 프로세스에서, 유저 페르소나 정의는 필수 과정입니다.
저희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다음 3단계를 거쳐 유저 페르소나를 설정합니다.
1️⃣ 핵심 유저 페르소나 정의
제품의 타겟 유저를 구체적으로 정의
연령, 직업, 성향, 사용 목적, 니즈를 세분화
“우리 제품의
가장 중요한 사용자
는 누구인가?”를 확실히 정리
2️⃣ 유저의 행동 시나리오 분석 & 유저 인터뷰 진행
유저가 앱을 처음 접하는 순간부터 사용하는 과정 시뮬레이션
“이 유저가 어떤 상황에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가?”
사용자의 Pain Point(불편한 점)와 Needs(필요한 점)를 분석
실제 유저 페르소나와 유사한 사람들을 모아 인터뷰 진행 (UX Research)
정말 필요한 기능인지 직접 피드백을 받고, 기획을 검증
우리가 매일 쓰는 쿠팡의 김범석 의장은 창업 초기에 직접 수백 명의 고객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며, 사용자들의 니즈를 철저히 분석했다고 합니다. 결국, 답은 고객의 목소리 속에 있습니다.
3️⃣ 모든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활용
기능 추가, 디자인, UI/UX 수정 → 모든 의사결정을 페르소나 기반으로 진행
“이 기능이 정말 페르소나에게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계속 던짐
결과적으로, 프로젝트의 방향성이 흔들리지 않고, 고객사가 감각적으로 의사결정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유저 페르소나 없이 제품을 만든다면? 10전 10패입니다.
프로덕트 기획은 단순한 ‘좋은 아이디어’만으로 성공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가 누구인지, 무엇을 원하는지 철저히 정의하고 그 기준에서 의사결정해야 합니다.
저희 제로백데브는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이 아니라, "사용자가 정말 필요로 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모든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유저 페르소나를 정의하고, 실제 유사한 유저를 모아 검증합니다.
유저 페르소나 설정부터 프로덕트 기획까지 고민하고 계신다면,
저희 제로백데브가 가장 확실한 파트너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채팅 기능, 단순해 보이지만 제대로 만들려면 어렵습니다.
회원가입 정책, 정말 SNS 간편로그인이 최선일까?
목록
주식회사 제로백데브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1길 62 아티스포럼 911호
대표자 : 박진희
사업자등록번호: 519-88-03232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0100dev
안녕하세요, 제로백데브입니다!
저희가 모든 프로젝트의 기획 단계에서,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이 서비스의 핵심 타겟 유저는 누구인가요?”
하지만 많은 고객사에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20~30대 MZ 세대요.”
“B2B 기업 고객이요.”
“우리 서비스는 누구나 쉽게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모호한 답변이 나온다면, 이미 위험 신호입니다.
서비스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구를 위한 서비스인가’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의사결정이 담당자의 주관에 따라 흔들리고 결과적으로 서비스는 망하게 됩니다.
유저 페르소나(Persona) 없이 기획하면 벌어지는 일
고객사 담당자의 직감과 감각으로 의사결정을 한다면?
“이 기능은 그냥 있어야 할 것 같아요.”
“디자인은 이렇게 하면 보기 좋지 않을까요?”
"채팅 기능도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
“윗분들이 중요하게 생각해서 꼭 넣어야 해요.”
이러한 과정들이 반복되면 발생하는 문제는?
1. 사용자가 원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가 만들고 싶은 서비스가 탄생함
2. 서비스의 방향성이 계속 흔들리고, 개발 일정이 끝없이 늘어남
3. 출시 후, 실제 유저들의 반응이 예상과 전혀 다름
4. 소리 소문 없이 고객들에게 잊혀짐
결과적으로, 투자한 시간과 비용 대비 미미한 서비스가 탄생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저희 제로백데브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유저 페르소나(Persona)'를 가장 먼저 정의합니다.
유저 페르소나(Persona)가 필요한 이유
유저 페르소나는 단순한 가상의 사용자 캐릭터가 아닙니다.
IT 프로덕트를 만들 때, 모든 의사결정의 기준점이 되는 핵심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일정 관리 캘린더 앱"을 만든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 대리는 "대학생 유저"를 생각하며 강의 시간표 공유 기능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B 과장은 "비즈니스 전문가"를 떠올리며 복잡한 일정 조율 기능을 넣으려고 합니다.
C 팀장은 "일반 사용자"를 위해 미니멀한 직관적인 UI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처럼 유저 페르소나가 정해지지 않으면, 담당자의 취향과 생각에 따라 기획 방향이 흔들립니다.
하지만, 페르소나가 명확하게 정해진다면?
"우리 캘린더 앱의 핵심 유저는 ‘하루 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직장인’이다."
"이 유저는 팀 일정이 아니라, 개인 일정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이 유저는 복잡한 기능보다, 하루의 일정과 할 일을 쉽게 정리할 수 있는 UI를 원한다."
특정 페르소나를 기준으로 삼으면, 핵심 타겟이 필요하지 않은 기능은 과감히 제거하고,
유저가 가장 만족할 수 있는 핵심 기능만 집중해서 뾰족하게 프로덕트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즉, 제품이 누구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가 명확해지고, 불필요한 기능 추가로 인한 개발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제로백데브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유저 페르소나를 정의합니다.
저희 제로백데브의 기획 프로세스에서, 유저 페르소나 정의는 필수 과정입니다.
저희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다음 3단계를 거쳐 유저 페르소나를 설정합니다.
1️⃣ 핵심 유저 페르소나 정의
제품의 타겟 유저를 구체적으로 정의
연령, 직업, 성향, 사용 목적, 니즈를 세분화
“우리 제품의 가장 중요한 사용자는 누구인가?”를 확실히 정리
2️⃣ 유저의 행동 시나리오 분석 & 유저 인터뷰 진행
유저가 앱을 처음 접하는 순간부터 사용하는 과정 시뮬레이션
“이 유저가 어떤 상황에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가?”
사용자의 Pain Point(불편한 점)와 Needs(필요한 점)를 분석
실제 유저 페르소나와 유사한 사람들을 모아 인터뷰 진행 (UX Research)
정말 필요한 기능인지 직접 피드백을 받고, 기획을 검증
우리가 매일 쓰는 쿠팡의 김범석 의장은 창업 초기에 직접 수백 명의 고객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며, 사용자들의 니즈를 철저히 분석했다고 합니다. 결국, 답은 고객의 목소리 속에 있습니다.
3️⃣ 모든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활용
기능 추가, 디자인, UI/UX 수정 → 모든 의사결정을 페르소나 기반으로 진행
“이 기능이 정말 페르소나에게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계속 던짐
결과적으로, 프로젝트의 방향성이 흔들리지 않고, 고객사가 감각적으로 의사결정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유저 페르소나 없이 제품을 만든다면? 10전 10패입니다.
프로덕트 기획은 단순한 ‘좋은 아이디어’만으로 성공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가 누구인지, 무엇을 원하는지 철저히 정의하고 그 기준에서 의사결정해야 합니다.
저희 제로백데브는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이 아니라, "사용자가 정말 필요로 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모든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유저 페르소나를 정의하고, 실제 유사한 유저를 모아 검증합니다.
유저 페르소나 설정부터 프로덕트 기획까지 고민하고 계신다면,
저희 제로백데브가 가장 확실한 파트너가 되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