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TEAM
SERVICE
기획
디자인
개발
컨설팅
PORTFOLIO
CONTACT
BLOG ↗
닫기
블로그
숨은 핵심, '관리자 어드민' 기획이 중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제로백데브입니다!
서비스 기획을 진행하다 보면 가장 많은 공을 들이는 부분은 단연 '사용자 화면(프론트)'입니다. 유저에게 어떻게 보여줄지, 어떤 기능이 있어야 할지, UX는 직관적인지 등 사용자 입장에서의 흐름을 중심으로 수많은 고민을 하게 되죠.
그런데 많은 프로젝트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는 영역이 있습니다.
바로,
'관리자 어드민(Admin)'
입니다.
"어드민은 나중에 개발하면서 맞춰도 되잖아요?"
어드민 기획을 얘기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말입니다.
하지만 서비스가 커질수록, 운영이 복잡해질수록 꼼꼼한 초기 기획과 설계 없이 진행하면 반드시 후회하게 됩니다.
운영이 불편하면, 비즈니스도 느려집니다.
어드민은 단순한 '관리용 도구'가 아닙니다.
출시 이후 운영을 맡은 실무 담당자가 직접 만지는 우리 프로덕트의 실전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체험단을 운영하는 커머스 플랫폼이라면 모집 공고 등록, 당첨자 선정, 후기 관리까지 모든 과정이 어드민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흐름이 잘 기획되어 있어야 운영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고객 응대나 이벤트 진행도 매끄러워집니다.
즉, 어드민이 불편하면 전체 사업과 서비스의 실행 속도 자체가 느려집니다.
어드민이 곧 데이터의 창구입니다.
유저의 행동 데이터, 콘텐츠 등록 현황, 운영 이슈 내역 등 서비스의 모든 데이터는 어드민을 통해 수집·관리됩니다.
데이터를 잘 볼 수 있는 어드민은 결국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만들고,
우리 비즈니스와 프로덕트의 방향성을 날카롭게 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됩니다.
잘 만든 어드민은 ‘사람을 줄입니다’
정형화된 반복 업무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면 운영 인력이 계속해서 더 필요하게 됩니다.
반면, 어드민에서 필터링, 자동화 처리, 데이터 일괄 관리 기능이 잘 구축되어 있다면 운영 효율이 극적으로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체험단 운영 어드민에서 ‘조건에 맞는 유저 자동 선정 + 푸시 발송’ 기능만 잘 기획되어 있어도 운영에 필요한 리소스가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서비스 확장의 핵심은 어드민입니다.
서비스를 글로벌로 확장하거나, 파트너사 전용 메뉴를 추가할 때도 가장 먼저 손봐야 하는 영역이 바로 어드민입니다.
앱 내 다국어 처리 지원, 국가별 콘텐츠 세팅, 파트너별 접근 권한 등 모든 확장 기능의 핵심은 결국 어드민에 달려 있습니다.
처음부터 이 확장을 고려한 어드민을 기획을 하지 않으면, 후속 기능을 붙일 때마다 구조가 꼬이고 개발비가 폭증하게 됩니다.
그래서, 제로백데브는 어드민 기획을 ‘처음부터’ 합니다.
저희 제로백데브는 사용자 화면 못지않게 어드민 화면 기획에도 많은 비중을 둡니다.
어드민을 별도의 기획 문서로 정리하고, ‘운영자용 UX’라는 관점에서 흐름과 사용성까지 고려합니다.
특히, 운영 이후에는 실제 리소스 절감 효과나 기능 사용률을 체크해가며 꾸준히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서비스의 완성도는 프론트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운영이 매끄러워야, 진짜 ‘돌아가는 서비스’가 될 수 있습니다.
ChatGPT를 도입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신규 유저 설문, 진짜로 필요한가요?
목록
주식회사 제로백데브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1길 62 아티스포럼 911호
대표자 : 박진희
사업자등록번호: 519-88-03232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0100dev
안녕하세요, 제로백데브입니다!
서비스 기획을 진행하다 보면 가장 많은 공을 들이는 부분은 단연 '사용자 화면(프론트)'입니다. 유저에게 어떻게 보여줄지, 어떤 기능이 있어야 할지, UX는 직관적인지 등 사용자 입장에서의 흐름을 중심으로 수많은 고민을 하게 되죠.
그런데 많은 프로젝트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는 영역이 있습니다.
바로, '관리자 어드민(Admin)'입니다.
"어드민은 나중에 개발하면서 맞춰도 되잖아요?"
어드민 기획을 얘기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말입니다.
하지만 서비스가 커질수록, 운영이 복잡해질수록 꼼꼼한 초기 기획과 설계 없이 진행하면 반드시 후회하게 됩니다.
운영이 불편하면, 비즈니스도 느려집니다.
어드민은 단순한 '관리용 도구'가 아닙니다.
출시 이후 운영을 맡은 실무 담당자가 직접 만지는 우리 프로덕트의 실전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체험단을 운영하는 커머스 플랫폼이라면 모집 공고 등록, 당첨자 선정, 후기 관리까지 모든 과정이 어드민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흐름이 잘 기획되어 있어야 운영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고객 응대나 이벤트 진행도 매끄러워집니다.
즉, 어드민이 불편하면 전체 사업과 서비스의 실행 속도 자체가 느려집니다.
어드민이 곧 데이터의 창구입니다.
유저의 행동 데이터, 콘텐츠 등록 현황, 운영 이슈 내역 등 서비스의 모든 데이터는 어드민을 통해 수집·관리됩니다.
데이터를 잘 볼 수 있는 어드민은 결국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만들고,
우리 비즈니스와 프로덕트의 방향성을 날카롭게 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됩니다.
잘 만든 어드민은 ‘사람을 줄입니다’
정형화된 반복 업무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면 운영 인력이 계속해서 더 필요하게 됩니다.
반면, 어드민에서 필터링, 자동화 처리, 데이터 일괄 관리 기능이 잘 구축되어 있다면 운영 효율이 극적으로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체험단 운영 어드민에서 ‘조건에 맞는 유저 자동 선정 + 푸시 발송’ 기능만 잘 기획되어 있어도 운영에 필요한 리소스가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서비스 확장의 핵심은 어드민입니다.
서비스를 글로벌로 확장하거나, 파트너사 전용 메뉴를 추가할 때도 가장 먼저 손봐야 하는 영역이 바로 어드민입니다.
앱 내 다국어 처리 지원, 국가별 콘텐츠 세팅, 파트너별 접근 권한 등 모든 확장 기능의 핵심은 결국 어드민에 달려 있습니다.
처음부터 이 확장을 고려한 어드민을 기획을 하지 않으면, 후속 기능을 붙일 때마다 구조가 꼬이고 개발비가 폭증하게 됩니다.
그래서, 제로백데브는 어드민 기획을 ‘처음부터’ 합니다.
저희 제로백데브는 사용자 화면 못지않게 어드민 화면 기획에도 많은 비중을 둡니다.
어드민을 별도의 기획 문서로 정리하고, ‘운영자용 UX’라는 관점에서 흐름과 사용성까지 고려합니다.
특히, 운영 이후에는 실제 리소스 절감 효과나 기능 사용률을 체크해가며 꾸준히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서비스의 완성도는 프론트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운영이 매끄러워야, 진짜 ‘돌아가는 서비스’가 될 수 있습니다.